목록국궁(詩)/활터의 사계 (4)
활(國弓), 그 치명적인 유혹..

살 에는 추위에 옴짝달싹 사색(死色)이 되어 버린 과녁 위로 밤새 살포시 내린 눈이 켜켜이 이불솜을 널었네. 온 몸을 싸고 매고 호호 손을 불면서 한 배 가득 당기고 놓으니 순간 멈춰버린 영원(永遠). 촉바람에 오색바람에 설 쏜 살이 간신히 굽통 쑤시니 소스라치게 놀란 과녁. 속절없이 이불솜만 주저 앉는다. 설자리 위 언발 줌통 잡은 곱은 손 이마 바로 선 높바람 목덜미를 파고드는 동장군의 엄포를 피해 급히 사우회관 속으로 몸을 숨긴다. ※ 시 해설눈이 많이 내리는 날 새벽에 활터에 가면 밤새 쌓인 눈이 솜 이불 처럼 널려 있다. 새벽습사의 첫 화살에 홍심을 드러내는 놀이를 '눈털기'라고 했다. 신사 때 사범님과 함께 '눈털기'에 나섰던 그 열정을 되찾고 싶다. ^^~※ 용어해설☞ 굽통 쑤시다 : 화살이..

아무때고 황학정(黃鶴亭)에 가면 과거와 현재가 층층이 쌓여있다. 우두커니 서 있는 과녁 삼형제 너머 병풍 같은 마천루(摩天樓)가 버티고 감투바위 아래 젖은 풀잎사이로 돋보이는 꽃무릇에 윤이 난다. 활꾼의 시위가 차오르고 살(矢)이 한 배를 얻을 즈음 시수꾼의 옅은 미소가 과녁을 향해 번진다. 사우회관(射友會館) 유리창 속에 벌써 가을 활터가 걸려있다. [사진] 황학정 박하식 접장님. [사진] 황학정 김진영 여무사님. ※ 시 해설 가을 하늘아래 활터의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. 황학정 사우회관(射友會館)에 서있는 필자를 기점으로 원경(遠景)에서 부터 점점 시각이 근경(近景)으로 [마천루-과녁-감투바위-설자리- 사우회관]옮겨 온다. ※ 용어해설 ☞ 마천루(摩天樓) : 과밀한 도시에서 토지의 고도 이용이라는 측면..

더위가 한창이라달구어진 설자리엔활꾼의 열정도 바짝 말라있다. 불볕에 익어버린 감투바위는예사로운 듯 눈 하나 깜빡이지 않아모든것이 멈춘 섬 풍경을 닮았다.그와중에 만개한 능소화(金藤花)가슬그머니 목책을 넘어 이리기웃 저리기웃. 개자리에 시들어버린 풍기(風旗)도 붕어죽에 활병난 한량마냥 가는바람에 삐죽거리고 있다. 산자락을 따라 늘어선 골짜기가활터의 열감(熱疳)을 죄다 끌어안아게으른 여름 한나절이 지나간다. ☞ 용어해설▲ 참나리 :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. 산야에서 자라는 식물로, 높이 1∼2m이며 흑자색이 돌고 흑자색 점이 있다. ▲ 능소화 :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능소화과의 낙엽성 덩굴식물.개인적으로 여름 활터에 가장 어울리는 꽃이다.^^ ▲ 개자리 : 과녁 앞에 웅덩이 등을 파고 사람..

활터의 봄볕 아래에서는 살 튀어나가는 것 보다 꽃망울이 더 빨리 터진다. 샛노란 개나리꽃, 연분홍 철쭉꽃. 덩치 큰 목련은 뒤질세라 일제히 꽃망울을 곧추 세운다. 황학정 안중(眼中)에 선 온깍지 활꾼은 고자채기로 활대를 비스듬히 제끼고 풀어 헤친 깍지손이 넉넉하다. 겹처마 너른 팔작지붕 황학정에 가면쏟아지는 봄 햇살 같은 활꾼들의 열정으로설자리조차 비좁다. 우물마루 아래 정겨운 댓돌 삼형제.봄햇볕에 잘 구워져서 그런지오늘따라 그 낯빛이 예사롭지가 않구나! ※ 용어해설☞ 고자채기 : 발시(發矢)하는 과정에서 깍지손의 탄성으로 활이 비슴듬이 재껴지는 현상. 편집자 주 ☞ : 활꾼 최고의 사진작가이신 황학정 박하식 접장님께서 봄볕에 그을린 황학정 풍경을 페이스북에 올려 주셨다. ^^ 언제나 접장님 사..